스마트 브레드에서 나온 깜빡이등 SET를 해보겠습니다. 이번 세트는 콘덴서의 충전과 방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불이 깜빡이는 원리입니다. 조립시간은 사용법을 보면서 5분정도 소요되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떤 키트가 불량품이라 다른 키트를 이용해서 사용했습니다.
깜빡이등 세트를 받으면 이렇게 봉투에 세트가 들어있습니다.
내용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점퍼선, 콘덴서 3.3마이크로/22마이크로, LED, 트랜지스터(D227/A642Y), 스위치, 미니보드, 저항(1MQ), 그리고 전지와 소켓이 들어있습니다. 내용물들 중에 점퍼선은 여유롭게 들어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회로도 및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미니보드에 점퍼선을 끼우기
2. 부품끼우기 (저항, 트렌지스터, 콘덴서, LED, 스위치, 전원 순서대로)
3. 콘덴서 바꾸며 실험하기 입니다.
점퍼선을 끼운 모습입니다. 색깔에 따라 점퍼선의 길이가 다릅니다.
혹시 스위치를 끼우실 때 헷갈리실까봐 알려드리겠습니다. 스위치의 아래에 보시면 왼쪽에 홈이 있습니다.
그 홈이 왼쪽으로 가도록 끼우시면 됩니다.
바로 끼운 모습은 사진과 같습니다.
22마이크로 짜리 콘덴서를 먼저 끼워보겠습니다. LED 등에서 불빛의 깜빡거림이 둔해지고 속도가 늦춰질 것입니다.
앗, 그전에 전원도 꽂습니다.
완벽하게 회로를 끼우고 조립한 모습입니다.
장난삼아 콘덴서를 빼보았는데 불빛이 그냥 켜졌습니다. 깜빡거림을 도와주는 역할이 콘덴서인게 확실해졌습니다.
주의사항 트랜지스터의 위치도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D227과 A642Y가 다르기 때문에 트렌지스터의 위치가 달라지면 LED등이 켜지지 않습니다.
실험원리 - 컨덴서는 축전기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순간적으로 전기를 모았다가 내보는 일을 합니다. 따라서 용량이 다르면 충전 후에 내보내는 전기의 양이 달라져 LED 등이 깜빡이는 속도가 다르게 변하게 됩니다. 용량이 크면 오래 충전하고 방전 시간도 길어져 깜빡이는 속도가 느려지고 용량이 적으면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납니다. 보통 우리가 자주 쓰는 컨덴서는 전해 콘덴서로 극성이 있으며 띠 있는 쪽이 음극이며, 다리가 긴 쪽이 +극입니다. 부르는 단위는 마이크로패럿이라 합니다.
제가 위에서는 줄여서 마이크로라고 했습니다.
깜빡이등 SET 등을 실행하는 동영상입니다.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이전글
2018/01/19 - [canon 70d/ iphone 6s] - [스마트브레드] 깜빡이등 SET
2018/01/17 - [IT신기술] - [스마트브레드] 온도반응 선풍기 SET
2018/01/17 - [IT신기술] - [스마트브레드] 가로등 set, 어두워지면 가로등이 켜져요!
2018/01/12 - [IT신기술] - 스마트 브레드 개폐 경보기 set
2018/01/12 - [IT신기술] - 피쿡(PICOOC) 스마트체중계 사용방법과 후기
2018/01/11 - [IT신기술] - 3d 프린터 이론과 실습
'IT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프린팅] 3D프린터의 기본 CURA를 설치해보자 (0) | 2018.01.24 |
---|---|
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에서 3D프린팅을 직접 접하다 (0) | 2018.01.21 |
[스마트브레드] 온도반응 선풍기 SET (0) | 2018.01.17 |
[스마트브레드] 가로등 set, 어두워지면 가로등이 켜져요! (0) | 2018.01.17 |
[스마트브레드] 개폐 경보기 set (0) | 2018.01.12 |